학회 소식
최남희 최윤현 교수 정년퇴임 기념 저서를 발간했습니다.
작성자 한말연구학회
등록일2006.02.11
조회수4242
우리학회에서는 최남희(동의대), 최윤현(강원대) 두 교수님의 정년퇴임 기념 공동 저서를 발간했습니다.

1.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대표 저자: 최남희)
2.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대표 저자: 최윤현)

낸곳: 경진 문화사
낸날: 2005. 1. 25.



<책을 내면서>

학회는 대학과 더불어 학문 발전을 위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대학과 학회는, 수레로 치면 양 바퀴와 같아서 그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학문의 발전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우리 한말연구학회가 우리말(한말)과 우리글(한글)의 연구를 목적으로 창립한 지 금년으로 20년이 되었다. 성년의 나이에 이른 우리 학회는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여 이제 국어학 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게 되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학회가 이런 성장을 하게 된 것은 회원들의 애정과 국어학계의 관심 덕이라 생각하며 학회의 발전과 국어학의 발전을 위해 도움을 주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려 고맙다는 인사를 드린다.
최남희, 최윤현 교수님은 한말연구학회 창립회원이며, 이사와 부회장을 역임하면서 한말연구학회의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기셨다. 뿐만 아니라 두 교수님은 평생을 교육과 연구에 정열을 바쳐 최윤현 교수님은 음운론 분야에서, 최남희 교수님은 형태론과 고대 한자음 분야에서 뛰어난 학문적 업적을 남기셨다. 그러나 세월의 흐름은 두 교수님들의 학문에 대한 열정과 탁월한 연구 능력이나 건강을 고려하지 않고 일정한 연령을 기준으로 삼은 정년이라는 명분에 따라 퇴임을 강요하게 되었으니 학계로서는 크나큰 손실이 아닐 수 없다.
공교롭게도 두 교수님께서 같은 날 정년퇴임을 하시게 되었다. 이에 우리 학회에서는 두 교수님께서 국어학과 학회 발전을 위해 끼친 공적을 기리기 위해 퇴임 기념 저서를 간행하기로 하고 학회 이사 전원이 참여하는 간행위원회를 발족시키고 간행 계획을 세웠다. 흔히 퇴임에는 기념 논문집을 내는 것이 그간의 보편적인 일이었지만, 간행위원회에서는 논문집보다 두 교수님을 대표 저자로 하는 공동 저서를 간행하기로 하였다. 첫 계획은 두 교수님의 전공을 살려 최남희 교수님의 저서는 형태론 분야로, 최윤현 교수님의 저서는 음운론 분야로 책을 내기로 하였으나 최남희 교수님의 경우 동의대학교에서 준비하는 내용과 겹쳐서 국어학 전체로 주제를 넓혔다.
그리고 이제,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두 권의 편집과 교정을 마치고 막상 간행사를 쓰려고 하니 두 교수님의 업적을 기린다는 뜻이 오히려 큰 업적을 훼손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두려움이 앞선다. 그러나 이 책에서 두 교수님의 학문적 업적을 기린다는 명분만큼은 순수한 것이기에 다시 용기를 내어 인쇄에 부친다.

2006년 2월

간행 위원장 조 오 현



󰡔우리말 음운 연구의 실제󰡕


제1장 국어 음운 연구
최윤현(강원대) 사잇소리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남기탁(강원대) 음성학 및 음운론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김정태(충남대) 음운현상과 과도음의 기능
정동환(협성대) 여주 지방말의 말소리 연구(Ⅱ)

제2장 국어 음운사 연구
김영진(대전대) 국어 음운사의 몇 문제
조오현(건국대) 내림겹홀소리의 홑홀소리 되기 원인과 과정
김성규(서울대) ‘ㅿ’ 변화의 예외에 대한 해석
허재영(서울대) 음운 변화의 본질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
박종덕(건국대) 국어의 음운 변화는 돌발적인가, 점진적인가
최영미(건국대) <소학언해>에 나타난 복합어의 성조 변동
김연희(건국대) 19세기 교과서류에 나타난 ‘/ㄴ/의 /ㄹ/ 되기’의 표기 연구

제3장 국어 현상 연구
이석규(경원대) ‘맹자’ [浩然之氣 章]의 텍스트언어학적 접근
최홍열(강원대) ‘빼앗다’ 유의어의 의미 고찰
한길(강원대) 한국어 반어법 구문의 특이성
최용기(국립국어원) 방송 언어의 순화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 실제󰡕


제1장 국어 음운
최남희(동의대) 고구려어의 닿소리 체계 연구
최중호(동의대) 고려한자음에 나타나는 전탁음의 대응 양상
이근영(대진대) 땅이름 <마홀>에 관한 연구

제2장 국어 문법
송창선(대구한의대) ‘-답-’을 통사적 접사로 보는 관점에 대한 비판
박동근(건국대) 한국어의 접사 체계에 대한 반성
권재일(서울대) 남북 문법의 시간범주 체계의 표준화 방안
허원욱(건국대) 17세기 국어 자리토씨
허재영(서울대) 국어 대명사 발달의 원리
윤혜영(건국대) 통어적 분석을 통한 김소월 시 연구

제3장 국어 의미
이석규(경원대) 봉산 탈춤의 언어 사용 연구
이수련(동의대) 소유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정동환(협성대) 소설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의미 분석
방운규(평택대) 여성 감탄사 ‘어머나’에 대하여
김준희(건국대) ‘죽음’에 관한 한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

제4장 국어 교육․정책
김용경(경동대)․이만식(경동대) 재외 한국교포를 위한 한글캠프 교육과정 연구
최용기(국어연구원) 표준어와 표준어 정책
서은아(안양대) 통신 언어의 부침(浮沈) 양상


<img src=http://www.hanmal.or.kr/images/Image71.gif width=200 height=300>
<br><br><br>
<img src=http://www.hanmal.or.kr/images/Image72.gif width=200 height=3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