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k@korea.com
-------------------------------------------
한글을 써 봅시다.
모든 문자 체계에는 나름대로 역사가 있으며, 대개 그 역사는 매우 오래 되었습니다. 하지만 불과 500년 전에 만들어진 한 문자체계는 하루아침이면 배울수 있도록 고안 되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한국인이 사용하고 있는 한글입니다. 한글창제와 사용에 얽힌 이야기는 참으로 흥미롭습니다.
한글이 만들어지기 전에 우리말에는 자체 문자가 없었습니다. 1000년이 넘도록, 교육받은 양반들은 한자를 사용하여 뜻을 전달하였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새로운 문자 체계를 만들려는 다양한 시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러한 시도는 모두 한자에 기초한 것이었기 때문에 오직 고육을 잘 받은 사람들만이 그러한 문자 체계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문자를 만들도록 지시한 왕
15세기에 세종대왕은 읽지도 쓰지도 못하는 백성들의 고충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백성들은 대부분 억울한 일이 있어도 직접 말할 수밖에 그 억울한 사정을 나라에 알릴 마땅한 방법이 없었습니다. 이 문제는 백성들의 말에 항상 귀 기울인 왕으로 알려져 있는 세종대왕에게 고민거리였습니다.
그리하여 세종대왕은 우리말에 잘 어울리면서 동시에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드는 일을 직접 주도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창제된 한글은 1446년에 반포되었습니다. 훈민정음 서문에서 세종대왕은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우리나라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는 서로 잘 통하지 아니한다.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들이 말하고자 하는바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것을 가엽게 생각하여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드니 모든 사람들로 하여금 쉬이 익혀서 날마다 쓴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안타깝게도 일부 학자들은 한글이 배우기 쉽다는 바로 그 이유 때문에 한글을 반대하였습니다! 그 학자들은 한글을 암글 즉 여자들이나 쓰는 글이라고 낮추어 불렀습니다. 그들은 당시 서당에서 글을 배우지 않았던 여자들이 쉽게 배울 수 있는 문자 체계를 무시했던 것입니다. 한글에 대한 이러한 편견은 한국의 상류층 사회에서 한동안 계속되었습니다. 사실 그 후로 400년 이상이 지나서야 비로소 한국정부는 공공문서에서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고 공포하였습니다.
배우기 쉬운 글
한글창제에 참여했던 한 학자는 한글에 대해 “지혜로운 사람은 하루 아침에 깨칠 것이요,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안에 배울 수 있느니라”라고 말하였습니다. 사실 초기에 한글을 반대한 사람들 중에는 한글을 ‘아침글’ 이라고 낮추어 부른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그들은 한글을 하루아침에 배울 수 있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사용하기에는 너무나 단순한 글이라고 생각하였던 것입니다!
어쨌든, 배우기 쉬운 한글덕분에 한국에서는 문맹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한국 어린이들은 학교에 입학할 때쯤 되면 이미 한글을 뗀 상태입니다. 영어를 사용하는 나라들과는 달리 한국의 학교에서는 철자 맞추기 대회 같은 것을 열지 않습니다! 이유가 무엇입니까? 한글로 한국말의 소리를 정확히 표현 할 수 있어서 들리는 대로 정확하게 표기 하는 것이 그다지 어렵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글은 심지어 외국어 어휘를 표기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신이 외국인이라면 한번 시도해 보지 않겠습니까? 여기에 나와있는 표가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지는 않지만 적어도 당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는 데는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렇게 해봄으로써 당신은 하루아침에 배울 수 있는 문자의 유용성을 직접 체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글의 자음과 모음
ㄱ (g,k) ㄴ (n) ㄷ(d,t) ㄹ(r,l),ㅁ(m),ㅂ(b,p), ㅅ(s), ㅇ( ), ㅈ(ch,j),ㅊ(ch’),ㅋ(k’),ㅌ(t’),ㅍ(p’),ㅎ(h)
ㅏ(ah),ㅑ(yah),ㅓ(o),ㅕ(yo),ㅗ(o),ㅛ(yo),ㅜ(u),ㅠ(yu),ㅡ(u),ㅣ(i)
예
ㅅ(s) + ㅗ(o) = 소 (so) cow
ㅅ(s) + ㅏ(a) + ㅇ(ng)= 상 (sang) prize
ㄱ(k) + ㅗ(o) + ㅁ(m) = 곰 (kom) bear
ㅅ(s) + ㅏ(a)
ㄹ(r) + ㅏ(a) + ㅇ(ng) = 사랑 (sarang)love
---------------------------------------------
전세계 87개 언어로 2100만부 발행되는 깨어라 잡지에 소개된 한글